A Glimpse into Disability Dance Artistry in Another Corner of the World
BY EMMALY WIEDERHOLT; TRANSLATED BY SOO JUNG BAE
한글로 인터뷰를 읽으시길 원하신다면 스크롤을 내려주세요.
Near the end of 2021, I was contacted by the Korea International Accessible Dance Festival (KIADA), who found Stance on Dance online and were interested in the book I co-authored with Silva Laukkanen, Breadth of Bodies: Discussing Disability in Dance. They were coming to the United States and were interested in connecting with me and Silva. After a few talks and an interview with them for Stance on Dance, they expressed interest in translating our book into Korean to share at the festival. Imagine our surprise and delight!
This past November 2022, I was happy to go to Seoul to see the festival in person. I knew right away I wanted to interview some of the choreographers being presented. While Silva’s and my book Breadth of Bodies covers 35 professional dancers with disabilities from 15 different countries, the beauty of this digital age meant we conducted the interviews remotely. As an unfortunate result, we haven’t gotten to actually see most of our interviewees dance. I was excited to take the opportunity to see and understand the work of various dance artists with disabilities at KIADA.
At the festival, I met Soo Jung Bae, a volunteer who I found friendly and inquisitive. She had recently authored a book in Korean, Learning How to Be Together, about children who have intellectual disabilities. I knew she was the person to help me interview some of the KIADA choreographers, not only because of her ease in English and Korean, but also because of her interest in writing and interviewing. As soon as I returned to the states, Soo Jung and I began contacting some of the choreographers I found especially intriguing at KIADA.
With Soo Jung’s help, I have interviewed Sungkuk Kang (the choreographer of OnMom Company in South Korea), Erin Ball, Vanessa Furlong, and April Hubbard (the dynamic trio behind LEGacy Circus in Canada), Luda Lee (the choreographer of Black Toe Dance in South Korea), Laura Morales Dávila and Helliot Baeza González (a choreographer and dancer with Danza Mobile in Spain), and Hyejeon Hong (the choreographer of Hong Dance Company X Dancing Eunpyeong in South Korea).
Overall, I enjoyed the breadth and variety of disability represented at the festival. In the United States, my impression is that most of the biggest names in the disability dance artistry field have physical disabilities and use crutches or manual wheelchairs. But that demographic is but a segment of the wider world of disability. On display at KIADA were not only dancers with physical disabilities who use wheelchairs or crutches, but also dancers who are blind or low vision, dancers with dwarfism, and dancer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the program notes denoted which dancers had disabilities and the nature of their disabilities).
Sungkuk Kang’s powerful piece How to Fold featured himself and two other dancers wrestling with a large piece of paper that covered the stage. I learned from interviewing Sungkuk that as a person with cerebral palsy, he was severely bullied as a child, and this experience was the impetus for his piece. He used the paper as a symbol to show that each person has value. Of course this is the case, but so often in the dance world, a narrow vein of bodies and experiences (think young, thin, and able-bodied) are valued. Sungkuk interrogated this bias in the dance world through his very presence, and the sight of him surrounded by endless crumpled paper was indelible.
LEGacy Circus’ The World at Our Feet took the audience on performer Erin Ball’s journey of becoming disabled and embracing disability. Most exciting was watching Erin’s “ah-ha” moment discovering disability as a creative force through the clever use of prosthetics. At the end when the performers’ various prosthetics explode confetti over the audience, I couldn’t help but cheer. Disability is an engine for exciting artistic possibilities not necessarily available to those of us who are able bodied. How thrilling to watch that frontier unfold.
Luda Lee’s piece Trialogue featured three disabled dancers and their personal experiences navigating a world not built for them. The first dancer was a young woman with an intellectual disability, Jiyoon Baek, who has intensively studied ballet. She performed a pas de deux with a professional male ballet dancer. I found their duet so eloquent I cried the whole way through. Because I grew up in the ballet world and for a long time longed to join its ranks, I found this instance of a budding ballerina’s dreams being fulfilled, no matter how unlikely in a more traditional ballet setting, especially poignant. It was an expression of the ballet world I want to dance in.
Laura Morales Dávila and Helliot Baeza González performed Soy Todo El Mundo, a dance theater piece about one’s inner monster. Disability has historically been associated with monstrosity, and yet in Soy Todo El Mundo, one’s inner monster was equated with freedom, as if finding one’s inner monster could liberate a person to more genuine and honest expression. Given that my favorite genre to perform is dance-theater, I found the use of voice in this piece refreshing. When Laura and Helliot started talking and singing, it dawned on me that all the other pieces in the festival had used music over a sound system. Actually hearing Laura and Helliot’s voices in tandem with seeing their movements showed me their agency as people searching for freedom of expression.
From my perspective of the professional disability dance field in the US, people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are among the last to gain visibility and advocacy. Yet at KIADA, almost every evening of performances prominently featured dancer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Among my favorites was Hong Dance Company X Dancing Eunpyeong in Possible Dance 2022, which featured a complete cast of dancer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onstage by themselves (meaning no dancers without intellectual disabilities were there to “guide” them). I found their improvisation to be dynamic and absolutely unpredictable, a true definition of improvisation. And because I doubt these dancers have been indoctrinated by ideas of “good” and “bad” dance the way I certainly have in my training, their movement choices betrayed no such silly hierarchy.
What I love about the intersection of disability in dance is how it scrambles our expectations when we watch a performance. And yet, if we start to see the same kinds of disability represented over and over again, the possibility for that artistic wonder becomes diminished. Disability is a huge demographic that encompasses many ways of interfacing with the world. I want to see bodies onstage that not only challenge who gets to be a dancer, but also challenge what I’ve been preconditioned by the dance world to accept as “good” dance. For me, KIADA did just that.
~~
또 다른 세상의 한켠에서 장애 무용 예술을 만나다
Emmaly Wiederholt 작성
배수정 번역
2021년이 끝나갈 무렵, 저는 대한민국장애인국제무용제 (KIADA, 이하 키아다)로부터 연락을 받았습니다. 키아다는 온라인을 통해 스탠스온댄스(Stance on Dance)를 발견하고, 저와 실바 라우카넨(Silva Laukkanen)이 공동 집필한 책, 『몸의 범위: 무용에서 장애를 논하다(Breadth of Bodies: Discussing Disability in Dance)』에 관심을 보였습니다. 키아다는 미국에 방문할 예정이었고, 저와 Silva를 만나기를 원했습니다. 몇 번 대화를 나누고, 스탠스온댄스와 인터뷰를 하고 나서, 저희의 책을 한국어로 옮기고 싶다는 의사를 표현했습니다. 너무 기쁘고 반가웠습니다!
지난 2022년 11월, 저는 직접 서울에 가서 무용제를 관람했습니다. 공연을 하는 무용수분들을 인터뷰하고 싶다는 것을 바로 느꼈습니다. 실바와 저의 책 『몸의 범위』는 15개 국가 출신의 서른 다섯 명의 전문 장애인 무용수들의 이야기를 다룹니다.디지털 시대 덕분에 먼 거리에서도 인터뷰를 진행할 수 있었습니다. 하지만 안타깝게도 인터뷰이들의 공연을 직접 보지는 못했습니다. 때문에 키아다에서 장애를 갖고 있는 무용 예술가들의 작품을 보고, 공연을 감상할 수 있어 기뻤습니다.
무용제에서 저는 다정하고 탐구적인 자원봉사가 배수정씨를 만났습니다. 배수정씨는 최근에 발달장애 아동들의 이야기를 다룬 책 『함께하는 법을 배우다』를 집필했습니다. 저는 수정씨에게 키아다 안무가들과의 인터뷰를 도와달라고 해야겠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그녀가 영어와 한국어를 편하게 했던 것 뿐만 아니라, 글을 쓰고 인터뷰를 하는 것에 관심을 갖고 있었기 때문입니다. 미국으로 돌아오자마자 저와 수정씨는 제가 특별히 관심 있게 보았던 안무가들에게 연락을 했습니다.
수정씨의 도움으로 강성국 (한국 온몸컴퍼니의 안무가) 선생님, 에린 볼(Erin Ball)과 바네사 펄롱(Vanessa Furlong) 그리고 에이프릴 허바드(April Hubbard) (캐나다 레거시 서커스의 트리오), 이루다(한국의 블랙토댄스컴퍼니 안무가) 선생님, 로라 모랄레스 다빌라(Laura Morales Dávila)와 헬리오트 바에자 곤잘레스(Helliot Baeza González) (스페인의 단자모바일의 안무가 및 무용가), 그리고 홍혜전 (한국의 홍댄스컴퍼니X춤추는 은평 재활원의 안무가) 선생님을 인터뷰했습니다.
전반적으로 무용제에서 보여진 장애의 종류와 범위가 인상 깊었습니다. 미국의 경우, 장애 무용 예술 분야에서 유명하게 활동하는 예술가들은 주로 신체 장애를 가지고 있어 수동 휠체어나 목발을 사용한다는 인상을 받았습니다. 하지만 목발이나 휠체어를 이용하고, 신체 장애가 있는 인구는 전체 장애 인구의 일부입니다. 키아다 공연에는 휠체어와 목발을 이용하는 신체 장애를 가진 무용가들 뿐만 아니라 시각 장애를 갖고 있거나, 시력이 좋지 않거나, 왜소증을 갖고 있거나, 지적 장애 (프로그램에서는 어떤 무용가가 어떤 장애를 갖고 있고 그 장애가 무엇인지에 대해 설명이 되어있었습니다)를 가진 무용가들이 있었습니다.
강성국 무용가가 만든 파워풀한 작품 ‘접는 법(How to Fold)’에서는 강성국 무용가와 다른 두 명의 무용수가 무대를 덮는 큰 종이 더미를 옮기는 장면이 나옵니다. 강성국 무용가와의 인터뷰를 통해 뇌성 마비를 갖고 있는 그가 어려서 심각한 학교 폭력을 겪었고, 당시의 피해 경험이 이 작품의 탄생 계기가 되었다는 것을 알게 되었습니다. 그는 모든 사람이 가치있다는 것을 표현하기 위한 상징으로 종이를 사용합니다. 모든 사람이 가치가 있다는 것은 어쩌면 당연한 말이지만, 무용계에서는 아주 좁은 범위의 몸과 경험(젊은 생각을 가지고, 마르고, 비장애인)만이 가치 있게 여겨집니다. 강성국 무용가는 그의 존재를 통해 무용계의 이러한 편견에 질문을 던집니다. 그리고 무수히 많이 뭉쳐진 종이 더미에 둘러 싸인 그의 모습은 잊혀질 수 없는 인상을 남깁니다.
레거시 서커스의 <우리 발 아래의 세상(The World at Our Feet)>은 관객들을 이끌고 에린 볼이 장애를 갖게 되고, 장애를 수용하는 여정을 떠납니다. 가장 인상 깊은 순간은 에린이 의족을 창의적으로 사용하며 장애가 가진 독창적인 힘을 발견하는, 에린의 “아-하”순간이었습니다. 마지막에 공연가들의 다양한 의족들이 관객을 향해 색종이 조각들을 뿌린 순간에는 환호하지 않을 수 없었습니다. 장애는 비장애인들에게는 가능하지 않은 흥미로운 예술적 가능성의 자원으로 기능합니다. 개척되지 않은 최전선의 세계가 펼쳐지는 것을 보는 건 감격스러운 일이 아닐 수 없습니다.
이루다 안무가의 작품 <세 사람의 이야기(Trialogue)>는 세 명의 장애인 무용가들과 그들의 개인적인 경험을 다루며, 그들을 위해 만들어진 세계가 아닌 세계를 탐구합니다. 첫 번째 무용수는 지적 장애를 가진 젊은 여성인 백지윤 무용수였습니다. 그녀는 발레를 깊이 있게 공부했습니다. 백지윤 무용수는 전문 남성 발레 무용수와 함께 발레 파드되를 보여주었습니다. 저는 그들의 듀엣이 너무도 감명 깊어 공연 내내 눈물을 흘렸습니다. 저는 발레 세계에서 자라며 오랜 시간 순위권에 들기를 바래왔습니다. 때문에 싹이 트는 이 발레리나의 꿈이 이루어지는 것이, 전통적인 발레 환경에서는 일어날 것 같지 않은 일이라고 해도, 아플만큼 감동적이었습니다. 그건 제가 무용을 하고 싶은 발레 세계였습니다.
로라 모랄레스 데질라와 헬리오트 바에자 곤잘레스는 내면의 괴물에 대한 연극 무용 작품인 <내가 이 세상의 중심이오(Soy Todo El Mundo)>를 선보였습니다. 장애는 괴상함과 연결되어 온 역사가 있습니다. 하지만 내가 이 세상의 중심이오에서 개인 내면의 괴물은 자유와 같습니다. 내면의 괴물을 발견하는 것이 인간을 해방시켜 더 진솔하고 정직한 표현으로 이어질 수 있는 것입니다. 제가 가장 좋아하는 공연 장르가 연극-무용이라는 점에서, 이 작품에서 목소리의 사용이 굉장히 신선했습니다. 로라와 헬리오트가 말을 하고 노래를 부르기 시작했을 때, 무용제의 다른 작품들은 모두 음향 시스템 위에 음악을 입혔다는 것을 깨달았습니다. 로라와 헬리오트의 움직임을 보는 동시에 그들의 목소리를 들으니, 그들이 표현의 자유를 찾는 주체임이 드러났습니다.
제가 생각하기에 미국의 전문 장애 무용계에서는, 지적 장애를 가진 사람들이 가장 소외되어 있어 지지를 받지 못하고, 주목을 받더라도 가장 마지막에 보여집니다. 하지만 키아다에서는 거의 모든 공연의 밤마다 지적 장애를 가진 무용수들이 공연을 했습니다. 제가 가장 마음에 들었던 작품은 홍댄스 컴퍼니 X 춤추는 은평 재활원의 <가능한 춤 2022(Possible Dance 2022)>이었습니다. 이 작품은 출연한 무용수 전원이 발달장애를 갖고 있고 그들 스스로 무대를 만듭니다(발달장애를 갖지 않은 무용수가 그들을 “가이드”하는 것이 아니었다는 의미입니다). 그들의 즉흥성은 다이내믹했고, 또 전혀 예측할 수 없었기에, 진정한 즉흥이라고 느꼈습니다. 이 무용수들은 제가 무용을 하며 받았던 훈련처럼, 무엇이 “좋은” 춤이고 무엇이 “안 좋은”춤인지에 대한 세뇌 과정을 겪지 않았을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따라서 이 무용수들의 움직임은 그런 우스운 위계 질서를 드러내지 않습니다.
장애 무용은 우리가 공연을 관람할 때 우리의 예상을 뒤섞습니다. 그럼에도 우리가 같은 형태의 장애만을 반복해서 본다면 그것에 대한 예술적인 관심은 줄어듭니다. 장애는 많은 인구가 갖고 있으며 세계와 만나는 다양한 방식을 포괄합니다. 저는 ‘누가 무용수가 될 수 있는가?’ 라는 질문에 도전하는 몸을 무대에서 보고 싶습니다. 이뿐만 아니라 제가 무용계에 있으며 “좋은” 춤으로 인식하도록 선입견을 갖게 만든 것에 도전하는 몸을 보고 싶습니다. 키아다는 바로 그것을 가능하게 했습니다.
~~